: 기업의 자산, 부채, 자본, 수익, 비용에 영향을 미치면서 그 영향을 화폐 금액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
ex) 화재, 도난, 분실, 대손, 감가, 파손 등에 의한 자산감소, 현금의 유입과 지출, 비용의 발생, 수익의 발생 등
계정 : 어떤 항목의 증가와 감소를 구분하여 기록, 계산하는 단위
계정과목 : 계정에 표시하는 구체적 명칭
계정 | 계정과목 | |
재무상태표 계정 | 자산 계정 | 현금, 외상매출금, 상품, 비품 등 |
부채 계정 | 외상매입금, 지급어음, 미지급금 등 | |
자본 계정 | 자본금 | |
손익계산서 계정 | 수익 계정 | 상품매출, 이자수익, 임대료 등 |
비용 계정 | 상품매출원가, 급여, 임차료, 이자비용 등 |
차변 요소 | 대변 요소 |
자산의 증가 | 자산의 감소 |
부채의 감소 | 부채의 증가 |
자본의 감소 | 자본의 증가 |
비용의 발생 | 수익의 발생 |
*회계상의 거래는 반드시 2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의 원인과 결과로 결합
분개 : 거래가 발생하면 회사의 장부에 복식부기에 의하여 차변 항목과 대변 항목을 나눠서 기입
수표 : 은행예금에서 돈을 인출할 수 있는 증서
어음 : 나중에 돈을 지급하기로 약속한 증서
교환거래 | 자산, 부채, 자본의 증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거래 |
손익거래 | 거래로 차변이나 대변 금액 전부가 수익이나 비용 발생 거래 |
혼합거래 | 교환거래와 손익거래가 동시에 일어나는 거래 |
계정과목론(1) (0) | 2023.06.21 |
---|---|
회계의 기본원리(5) (0) | 2023.06.21 |
회계의 기본원리 (3) (0) | 2023.06.19 |
회계의 기본원리(2) (0) | 2023.06.14 |
회계의 기본원리(1) (1) | 2023.06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