: 일정 시점의 재무상태를 보고하며 자산, 부채, 자본으로 구성됨.
*유동성: 즉시 현금화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
*재무적 탄력성: 해당 업체의 전반적인 자금 흐름 상황에 대한 그림을 그린 후, 만약 해당 업체가 재무적으로 어려운 상황에
처할 경우에 그로 인한 자금 압박 요인을 얼마나 잘 극복할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척도
회사명 20xx.xx.xx (단위: 원)
유동자산 | 당좌자산 | 유동부채 | 매입채무, 미지급금 등 |
재고자산 | 비유동부채 | 사채, 장기차입금 등 | |
비유동자산 | 투자자산 | 자본 | 자본금 |
유형자산 | |||
무형자산 | |||
기타 비유동자산 |
- 기업명, 보고기간 종료일, 보고통화 및 금액단위 함께 기재.
: 과거의 사건이나 결과에 의해 현재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미래의 경제적 효익의 유입이 예상되는 것
- 재화와 채권
: 현금 또는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
① 당좌자산 : 현금 또는 빠른 시간 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
② 재고자산 :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
: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후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
① 투자자산 : 장지적인 투자수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자산
② 유형자산 : 영업활동에 1년을 초과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자산
③ 무형자산 : 영업활동에 1년을 초과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자산
④ 기타 비유동자산 : 비유동자산 중 투자자산 및 유형자산,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자산
유동자산 | 당좌자산 | 현금 및 현금성자산, 단기투자자산(단기금융상품, 단기대여금, 단기매매증권,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매도가능증권, 만기보유증권), 매출채권, 미수금, 미수수익, 선급금, 선급비용 |
재고자산 | 상품, 제품, 원재료, 재공품, 반제품, 저장품, 미착품, 위탁품, 시송품 등 | |
비유동자산 | 투자자산 | 장기금융상품, 장기투자증권(매도가능증권, 만기보유증권), 장기대여금, 투자부동산 등 |
유형자산 | 토지, 건물, 구축물, 기계장치, 선박, 차량운반구, 건설 중인 자산, 비품 등 | |
무형자산 | 영업권, 개발비, 산업재산권, 광업권, 어업권 등 | |
기타 비유동자산 | 장기매출채권, 장기미수금, 임차보증금 등 |
- 상품(제조 X), 제품(제조 O), 비품(1년 초과 사용), 소모품(1년 이내 사용)
- 매출채권 : 일반적 상거래 (외상매출금/받을어음)
- 미수금 : 일반적 상거래 외
- 대여금(장기대여금/단기대여금)
- 선급금
- 임차보증금 등
: 미래에 갚아야 할 채무 또는 의무로서 미래의 경제적 효익의 유출이 예상되는 것 (타인자본_갚아야 할 빚)
부채의 분류
(1) 유동부채 :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상환기한이 1년 이내
(2) 비유동부채 :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상환기한이 1년 이후
유동부채 | 매입채무, 단기차입금, 미지급금, 선수금, 예수금, 미지급비용, 당기법인세부채, 미지급배당금, 유동성 장기부채, 선수수익 등 |
비유동부채 | 사채, 장기차입금, 장기성 매입채무, 임대보증금 등 |
: 회사의 소유주 자신이 투자한 출자금으로서 소유주의 잔여청구권
- 구분표시
- 총액표시
-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기준
- 유동성 배열법
- 잉여금 구분표시
- 미결산 항목 및 비망기록 표시금지
* 자산은 '당좌> 재고> 투자 > 유형> 무형> 기타 비유동' 의 순서로 배열한다. *
계정과목론(1) (0) | 2023.06.21 |
---|---|
회계의 기본원리(5) (0) | 2023.06.21 |
회계의 기본원리(4) (2) | 2023.06.21 |
회계의 기본원리 (3) (0) | 2023.06.19 |
회계의 기본원리(1) (1) | 2023.06.13 |